2024년 5월 20일부터 병의원 진료 시 신분증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병원을 갈 때 신분증을 깜빡하는 경우는 있어도 스마트폰은 챙겨가는 오늘날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잇는 모바일 신분증 만들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
스마트폰, 운전면허증
먼저 스마트폰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검색해서 상단 사진에 있는 어플을 설치해줍니다.
그 이후 아래 기관을 통해 발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운전면허시험장 현장 방문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신청하면 당일 발급되어 현장에서 수령이 가능합니다.
2. 경찰서 현장 방문
경철서에서 신청하면 1주일에서 2주일 후 발급되어 재방문 후 수령이 가능합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후 예약 날짜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약 날짜에 맞추어 방문하고 수령하시면 됩니다.
여러모로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무래도 운전면허시험장이 당일 발급이 되므로 거리가 가까우신
경우라면 시험장으로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모바일 면허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1. 모바일 면허증 추가발급
현장에서 QR코드를 제공받아 촬영 후 설치하여 본인인증을 하는 경우입니다. 면허증을 바꿀
필요도 없고 수수료도 1,000원이라 간단하지만 스마트폰을 변경하면 다시 QR코드를 찍으러
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2. IC 운전면허증 발급
IC카드로 발급되는 운전면허증으로 가지고 있다면 스마트폰을 바꿔도 언제든지 모바일 신분증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방법도 간단하게 어플을 실행한 후 스마트폰 뒷면에 카드를 대면 인식이 됩니다.
수수료는 13,000원 입니다.
발급 방법은 본인의 취향에 맞추어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이제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플을 실행하면 인증을 하게 됩니다. 간단하게 번호 또는 지문을 등록해주세요.
그 이후 화면과 같이 자신의 운전면허증이 나오는데 이를 안내데스크에 제시하면
됩니다. 만에하나 상세 내용이 필요하다면 화면에 있는 사진을 한번 눌러주세요.
그러면 상세한 신분증 화면으로 나옵니다. 이때 이 화면에서 주민번호와 주소가
안보이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설정이니 안심하시면 됩니다.
만일 정보제공이 필요한 경우 스마트폰을 가볍게 흔들어주시면 번호와 주소가
화면에 보입니다.
다음글은 운전면허증이 없는 분들을 위해 모바일 주민등록증 만들기를 알아보겠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긴급전화 설정 (긴급번호, 의료정보) (0) | 2024.05.31 |
---|---|
PASS 모바일 신분증 만들기 (0) | 2024.05.30 |
복권 구매 (2) | 2024.05.28 |
공공화장실 찾기 (0) | 2024.05.27 |
K-패스 삼성페이 / 삼성월렛 (0) | 2024.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