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리기쉬운맞춤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틀리기 쉬운 맞춤법 시리즈 - 3. 어떡해? 어떻게? "어떡해" vs "어떻게", 헷갈리지 않게 구분하는 법 어떡해와 어떻게, 어 그리고 혹시 모르지만어떻해라고 쓰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오늘은 어떠하다를 어떻게 써야하는지 말씀드립니다.방금 말씀드린 단어 모두 "어떠하다"에서 파생되는 말입니다. 어떠하다는 어떻다의 본말이고,어떻다는 어찌 되어 있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어떻게는 어떻다에 ㅇㅇ하게가 붙어서 사용되고요.어떡해는 어떻게 + 해라는 말이 줄면서 쓰이게 된 말입니다. 즉! 어떡게, 어떻해, 어떻하다 등은 없는 말입니다.1. "어떡해"와 "어떻게" 차이점 ✔ "어떡해" =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 ✔ "어떻게" = "어떠하게"의 줄임말 즉, "어떡해"는 감정이나 상황에 대한 반응, "어떻게"는 방법을 물어볼 때 사용됩니다. 2. 예문으로 쉽게 .. 더보기 틀리기 쉬운 맞춤법 시리즈 - 2. 연도? 년도? 연도 vs. 년도 : 정확한 구분법 알아보기! 연도와 년도의 구분 ‘연도’와 ‘년도’는 같은 의미이지만, 상황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이는 두음 법칙에 따른 차이로, 공식 문서나 글 작성 시 올바르게 사용하면 더욱 자연스러운 문장이 됩니다. 연도와 년도의 차이 ✔ 연도(年度) : 단독으로 사용할 때 또는 일반적인 경우 ✔ 년도(年度) : 숫자 뒤에 붙을 때 📌 예시 ✅ 회사 창립 연도 (올바른 표현) ✅ 2025년도 (올바른 표현) 즉, 숫자 없이 사용할 때는 ‘연도’, 숫자와 함께 쓰일 때는 ‘년도’가 자연스럽습니다. 글을 작성할 때 ‘연도’와 ‘년도’를 올바르게 구분하면문장이 더욱 정확하고 매끄러워집니다. 이제 연도와 년도의 차이를 기억하고 적절하게 사용해보세요. 더보기 틀리기 쉬운 맞춤법 시리즈 - 1 틀리기 쉬운 맞춤법 시리즈 결제와 결재의 차이 : 직장에서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결제? 결재? "회사에서 결재건을 위해 결제를 올리다."예 헷깔리죠. 이거 틀린말입니다. 결제 : 돈을 주고받는 일. '결제는 쇼핑몰에서 상품을 결제할 때' 결재 : 결정권한이 있는 사람이 제출된 안건을 검토하고 허가 또는 승인하는 것입니다. '결재는 상사가 결제 요청을 승인할 때'쉽게 이해하려면 이렇게 해보세요.경제 = 결제. ㅇ제로 끝납니다. 경제는 돈이 들어가죠? 돈이 들어가는 종류는 결제.경제 활동과 관련된 거래에서는 주로 돈이 오가기 때문에 '결제'라는 단어를 연상하시면 됩니다.돈이 들어가지 않는 것은 결재라고 보시면 바로 적용하기 쉽습니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