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TI란? 성격유형 검사 & 줄임말 정리
1. MBTI란?
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줄임말로,
자기 보고형 성격 유형 검사입니다.
총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구분되며,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대부터 크게 유행했습니다.
알기 쉽고 재미있는 성격 검사로
대화의 물꼬를 트는 스몰토크 소재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2. MBTI의 4가지 분류 기준
MBTI는 4가지 기준으로 성격을 구분합니다.
1️⃣ 주의 초점 / 에너지 방향
E (Extraversion) 외향형
- 외부 활동을 선호하고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에너지를 얻음.
I (Introversion) 내향형
- 혼자 있는 시간을 좋아하며 내부 세계에서 에너지를 얻음.
2️⃣ 인식 기능 (정보 수집 방식)
S (Sensing) 감각형
- 현실적이고 경험을 중시하며, 세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사고.
N (Intuition) 직관형
- 미래지향적이며, 직관과 가능성을 바탕으로 사고.
3️⃣ 판단 기능 (의사 결정 방식)
T (Thinking) 사고형
-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판단을 중시.
F (Feeling) 감정형
- 감정을 중시하고, 인간관계를 고려한 판단을 선호.
4️⃣ 생활 양식 (선호하는 삶의 패턴)
J (Judging) 판단형
-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생활을 선호.
P (Perceiving) 인식형
- 즉흥적이고 유연한 생활을 선호.
💡 예제
"외향적이고 현실적이며 논리적 사고를 하고 목표를 중시하는 사람"
→ ESTJ
3. MBTI 유형 줄임말 정리
MBTI를 말할 때 영어 발음을 그대로 읽으면 길어지므로
국내에선 줄여서 발음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 기본 규칙
J (Judging), P (Perceiving) → ‘제’, ‘피’
T (Thinking), F (Feeling) → ‘티’, ‘프’
E, I, S, N → 연결해서 발음
ES, EN (이에스, 이엔) =
엣(ES를 붙여발음하면 에스라고 부르는데 그걸 줄여서 엣),
엔(마찬가지로 EN을 붙여발음하면 엔이라고 하여 엔)
IS, IN (아이에스, 아이엔) =
잇, 인 (IS를 발음하면 이스. 그걸 줄여서 잇),
(IN을 그대로 말해서 인)
✅ 줄임말 예시
ESTJ → 엣티제
INFP → 인프피
ENTP → 엔팁 (TP는 ‘팁’으로 줄여 발음)
4. MBTI, 믿을 수 있을까?
MBTI는 심리학적으로 과학적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습니다.
- 자기 평가 방식이므로 자기 객관화가 어려운 경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음.
- 검사할 때마다 결과가 바뀌는 경우도 많음.
- 미국의 과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이 연구한 결과, 엄격한 심리 검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함.
🔹 비슷한 예시 : 혈액형 성격설
MBTI를 재미로 참고하는 것은 좋지만,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특히 업무, 채용, 인간관계 판단에 활용하는 것은 부적절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그외.
MBTI를 활용한 최신 표현
최근 젊은세대 사이에서 MBTI 유형을 활용해
다양한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 "너 T야?"
→ 감정적인 공감을 기대했는데 논리적으로 반응할 때 사용
📝 예시
A : "나 너무 속상해 ㅠㅠ"
B : "근데 네가 잘못한 거 아니야?"
A : "와... 너 T야?"
✅ "나 대문자 F잖아"
→ 감성이 풍부한 성격을 강조할 때 사용
📝 예시
A : "나 이 영화 보고 펑펑 울었어 ㅠㅠ"
B : "헐, 진짜?"
A : "나 대문자 F잖아..."
✅ 소문자로 표현하는 경우
‘f’ : 감성적이긴 하지만 극단적이지 않다는 의미
‘t’ : 논리적이지만 완전히 감정이 없는 것은 아님
📝 예시
A : "그래도 좀 슬프긴 했어."
B : "너 f구나."
이처럼 대문자와 소문자로 감성의 강도를 나타내는 방식이
SNS나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MBTI는 가볍게 즐기기 좋은 성격 유형 검사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나는 이런 성향이 있구나!" 정도로 참고하면 유용합니다.
여러분의 MBTI는 무엇인가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지문등록 (0) | 2025.04.04 |
---|---|
십이지, 십이간지 (2) | 2025.04.02 |
틀리기 쉬운 맞춤법 시리즈 - 3. 어떡해? 어떻게? (2) | 2025.03.14 |
삼계탕과 백숙 (0) | 2025.03.05 |
틀리기 쉬운 맞춤법 시리즈 - 2. 연도? 년도?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