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조의금 기준

반응형

조의금 기준.

축의금과 조의금. 합쳐서 부조금이라고 하죠. 조의금은 크게 장례식장에서 드리는 돈을 뜻합니다.

부고 문자 혹은 카톡, 연락을 받은 경우에 참여 여부나 금액에 대해 고민하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이건 어디까지나 스스로 정한 기준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좋겠습니다.

전 부고문을 전달받게되면 왠만하면 직접 참석해서 위로해주려고 해요. 금액도 되도록 10만원으로 드리고요. 다만 금액도 좀 나눠지게 되는데 지금까지 냈던 기준은 이랬어요.

예시 1. 친구 할머님의 부고.
중학교부터 친구였던 녀석이었는데 부고 전화를 듣고 바로 갔습니다. 조의금으로 10만원 했습니다.

예시 2. 배우자의 사촌의 배우자의 할아버님의 부고
예시가 너무 길죠? 좀 애매하지만 아는사이라고 합시다. 아는사이 정도고 직접 참석하지 못했지만 저희 순대랑 같이 5만원을 송금했어요.

예시 3. 직장동료의 할아버님의 부고
직장분들과 함께 방문드렸습니다. 금액은 지금은 기억이 잘 안나는데 같이 십시일반으로 모아서 제출했어요. 대략 3만원인가? 그랬어요.

금액에 대해선 정답은 없어요. 보통 축의금처럼 3,5,7 기준으로 조의를 표하고, 저희 외할머님이 돌아가셨을 때는 10만원, 20만원도 주신 분들이 계셔요.

조의금이든 축의금이든 그 사람에게 진정 마음으로 드리는 거기 때문에 이전에 도움받은 적이 있었다면 최소한 그만큼은 보태서 전달해주는게 좋아요.


요약

관계 참석 여부 조의금
가까운 친척 (조부모, 부모, 형제 등) 참석 10~20만 원 이상
친한 친구, 절친 참석 10만 원
직장 동료 참석 (단독) 5만 원
  참석 (여러 명 함께) 3만 원 (공동 조의금 모금 가능)
배우자의 친척 (간접적 관계) 불참
(경우에 따라 참석)
5만 원 송금
멀리 지낸 지인, 사회적 관계 불참 조의 문자만


+추가
봉투 기입 양식
축의금이든 조의금이든 예전에는 축결혼(祝結婚), 축화혼(祝華婚), 부의(賻儀) 등을 한자로 적었지만 요새는 고무도장을 찍거나 한글로 적기도 해요.
정말 모르겠다면 그냥 자기소속과 이름만 적어도 좋아요. 장부에 기록할때 자기 가족중에서 누구와 관계되었는지 알려줄 수 있는 소속이 좋아요.

예를 들어 

최대한 중학교동창

김우리 무궁화센터 과장 등등

추가로 만일 봉투에 직접 이름을 쓴다면 뒷면 왼쪽 구석에 적어주세요. 왼쪽부터 이름, 소속이나 관계 등을 같이 적어주시면 좋습니다. 만일 헷깔리신다면 뒷면 구석이라고만 생각하시고 적어주세요. 요즘은 크게 예의없는 행동이 아니랍니다.

 

3줄요약

1. 금액은 3.5.7.10 중 고르고 관계에 따라 올리며, 최대한 참석하자. (아는사이, 지인, 친구, 절친 및 친척 순)

2. 봉투는 흰색 무지봉투에 뒷면 왼쪽 구석에 자신의 이름과 소속을 적자.

3. 사이가 나쁜 사람이더라도 따뜻한 위로를 건내주자.

반응형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재서류 보고 팁 : 가로문서를 세로로!  (0) 2025.03.26
자동차 김서림 제거  (2) 2025.03.17
축의금 기준  (0) 2025.03.07
하루 기분표 작성 방법  (0) 2025.02.24
군대 생활 팁 : 행군  (0) 2025.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