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갑을병정 - 십간

반응형

 

 

십간(十干), 또는 천간(天干)은
날짜와 연도를 셀 때 사용했던 고유한 한자 체계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십이지신(十二支神)과 함께 조합해 사용되며,
두 가지를 합쳐 간지(干支)라고 부릅니다.

2025.03.31 - [생활정보] - 십이지, 십이간지

 

십이지, 십이간지

십이지 십이간지라고도 함. 동아시아에서 사용되는 간지 중 십간 뒤에 붙는 12가지 글자. 최초에는 오로지 글자로만 표현하였으나 인도의 문화권을 받아 문자마다 상징적인 동물을

q1support.tistory.com


십간과 십이지신이 각각 순환하면서 조합되어 만들어진 것이 바로
육십갑자(六十甲子)입니다.
(10간 × 12지 → 60가지 조합)

📌 십간(천간) 목록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각 천간은 음양오행(木火土金水)과 관련되어 있으며,
방위, 색상 등의 속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속성들이 십이지신과 함께 조합되면서,
오늘날 우리가 자주 듣는 "청룡의 해", "황금돼지의 해" 같은 이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辛신
壬임
癸계
음양
오행
木(나무 목)
火(불 화)
土(흙 토)
金(쇠 금)
水(물 수)
방위
중앙
색상


📌 십간을 쉽게 외우는 방법
갑자로 시작하는 연도는 끝자리가 4입니다.
을로 시작하는 연도는 끝자리가 5로 생각하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임진왜란의 '임(壬)'은 십간 중 **임(壬)**에 해당합니다.

임은 끝자리가 2에 해당하므로,
1592년이라는 연도를 쉽게 떠올릴 수 있습니다.

한국사 연도 맞출 때 십간의 끝자리 규칙을 참고하면 꽤 유용합니다.

십간(천간)과 십이지신을 함께 알아두면,
연도 계산뿐만 아니라 동양 철학, 명리학, 전통 문화 이해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특히 육십갑자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이나 문화적 명칭에서 많이 등장하니,
기본 개념을 알아두면 여러모로 활용할 수 있겠죠.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에너지 캐시백  (2) 2025.05.02
택배 포장봉투 재활용  (0) 2025.04.21
너 이름이 뭐니? 시리즈 - 날클립기, 날크립기, 나이스러  (0) 2025.04.11
사전지문등록  (0) 2025.04.04
십이지, 십이간지  (2) 2025.04.02